HTML form태그가 전달하는 방식:
1) GET방식
- 요청 시 주소에 값(파라미터)을 담아서 전달하는 방식
- 장점 : 캐싱(북마크, 주소복사) 가능
- 단점 : 비밀번호도 주소에 노툴되는 문제 발생
+주소창 길이는 제한됨(데이터 길이 제한)
==>쿼리스트링 사용 : 주소에 담긴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문자열
==>요청 주소 뒤에 ?를 기점으로 시작. + name속성값=value 형태로 작성, 여러개면 &로 붙힘
2)POST방식
- 요청 시 HTTP Body에 값을 감아서 전달하는 방식
- 장점 : 값이 주소에 노출되지 않아 보안성이 높음.
+ 데이터 크기 제한 없음.
- 단점 : 캐싱 불가능. 문자 인코딩 처리가 필요
[하나의 프로젝트에서 같은 주소 요청을 처리하는 Servlet은 중복 존재할 수 없다]
== 요청 주소당 Servlet은 하나만 가능하고 이 하나에서 GET 과 POST를 둘 다 받게 할 수 있다.
(doget(), dopost() 작성)
JSP : HTML에 Java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파일. HTML을 쉽게 Java와 합쳐 작성할 수 있게 도와준 Servlet
---> 한마디로 발전된 Servlet으로 둘이 전혀 다른게 아님
JSP의 장점:
1) Servlet보다 쉽다
2) 디자인과 로직이 나눠있을 수 있음
3) 변수의 범위 설정 가능(scope)
'개발자로 업그레이드 되자 > Servlet, 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블릿, JSP 정리 (6) 에러페이지로 연결하기 (0) | 2021.12.06 |
---|---|
서블릿, JSP 정리 (5) 로그인/ 로그아웃 / 암호화 (0) | 2021.12.03 |
서블릿, JSP 정리 (4) DB커넥션풀 세팅 (0) | 2021.12.03 |
서블릿, JSP 정리 (3) (0) | 2021.11.30 |
서블릿, JSP 정리 (1) (0) | 2021.11.26 |